목록전체 글 (35)
동도리 개발 로그
구글에서 개발된 프로그래밍 언어 GC(Garbage collection) 이 있으며 병행성 지원이 잘되는 컴파일 언어 개발자들은 C++가 복잡스러워서 대체가능한 언어를 만들기 위해 만들기 시작하였다고한다. 쓰면서 좋았던점 고에서 지원하는 go 루틴을 이용하면 쓰레드 사용이 엄청 쉽게 된다. 참고로 go 루틴은 경량 쓰레드 go 루틴끼리 채널을 통해서 상호간 통신 및 컨트롤이 가능하다. 필요없는 패키지를 go언어 자체가 컴파일 전에 에러를 내서 불 필요한 코드가 적어진다. OS별 바이너리를 생성하여 실행파일 한개만 실행 하면 된다. error를 리턴하여 처리 가능 하다 -> 에러 처리를 안하면 그냥 넘어가거나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혹은 그냥 무시 가능 불편했던점 타입 상속이 없다. geth를 재 프로그래밍..
리액트를 사용하기위한 환경 현재 다니는 회사 특성상 맥을 이용한 작업 환경을 구축 하고있음으로 맥(리눅스) 에 기반하여 작성하였다. 페이스북에서 지원해주는 도구인 create-react-app 을 이용하지않고 리액트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node, yarn 은 기본이고 Webpack, Babel 과 같은 도구들을 설치, 설정 해줘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있지만 우리 페북느님들이 만들어놓은 create-react-app 을 이용하면 쉽게 생성 가능하다. 혹은 인텔리제이(IntelliJ) - jetbrain 에서 판매하는 IDE를 사용한다면 초기에 번거롭게 설정하는 과정없이 프로젝트 생성이 가능하기에 학부생으로 대학교 이메일(~~ac.kr, .edu)을 가지고 있다면 학생용 라이선스를 받아 사용하길 권장한다..
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 React를 서포트하고있는 페이스북에서 'React는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UI용 라이브러리다' 라고 한 말이 있다 요즘 웹은 브라우저 상으로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. 정적인 페이지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수 많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나타내고 관리 해주어야 한다 유저가 브라우저상에서 어떠한 것을 변경하고자 하면 유저의 입력에 따라 해당 DOM을 찾아서 접근하여 원하는 작업을 해주어야 하는 관리가 필요한데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DOM을 관리 하는 건 너무 힘들기에 DOM 관리와 산태값 업데이트를 최소화 하고 개발과 인터페이스 구현에 집중하기 위에 만들어진 것들이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 / 프레임워크 이다. 요새 React, Angular, Vue 등 엄청나게 많은 프론트..